블로그 이미지
"Face to face"
johnjung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total
  • today
  • yesterday
2009. 11. 6. 15:12 Review/음악에 관한
Daft Punk 다프트 펑크 - Discovery .
17800 /
상세보기관련상품보기

- 너무 많이 들리기도, 혹은 요즘 나오는 일렉트로닉에 비해 
  구성이 너무 단순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역시 최고, daft punk

Lonely Island - Incredibad [CD+DVD] .
22500 /
상세보기관련상품보기
- 니네, 판 냈니? 고맙다. 이젠 영상이 아니라 MP3 들으면서 뒤집어질 수 있겠구나.
  SNL에서 뮤직비디오 하나로 트렌드를, 혹은 섹스에 대한 인생의 단면을
  가장 웃기게 표출하는 3인조.  The lonely island.
  (SNL의 natalie's lap이라던가 dig in a box, on the boat, jeez in my pants 등을 기억하며,
   이 노래만 따로 추출할 수는 없을까 생각하던 사람들에겐 희소식!! :))
(비트볼뮤직) THE POSTAL SERVICE (Give up)
11800 / 스포츠/레저/취미
상세보기관련상품보기

- 내 기억의 일렉트로닉 대표적 뮤지션의 이미지는,
  무언가 깊은 우물에 빠져있는 듯한 모비와 숨쉬고 싶다고 지네랑 
  철거 직전의 건물에서 동공 없애는 렌즈 끼고,
  미친 듯 고개를 흔들어대던 프로디지가 전부였는데, 
  일렉트로닉으로 이렇게 사근사근 이야기하는 밴드도 있구나. 
  가을보다는 봄에 더 반할 듯하지만, 지금도 좋아.  The Postal service 
봄 여름 가을 겨울 - 2집
6200 /
상세보기관련상품보기

-그러니까, 이걸 90년대초에 내셨다구요.
 그러니까, 이제 데뷔한 지 20년 되셨다는데,..
 아직도 성공적인 뮤지션으로 남아계신지 알겠네요.
 연주인 중심의 패러다임이 담긴 밴드가 성공할 수 있다는 선례가 되신 이유도 알겠구요.
 20년 전 감성일지 모르겠지만, 듣는 제 가슴이 다 두근거리네요. 봄 여름 가을 겨울
  
....하는 김에 가을에 추천하고픈 노래 리스트를 좍 정리해서 올려보고 싶네요.
물론 유튜브에 음원 있는 걸 토대로, :)

posted by johnjung
2009. 9. 17. 14:13 Review/음악에 관한



어떻게 해야할까.
아니, 어떻게 했어야 했을까.
어쩌면 무엇을 했어야만 했을까.
혹, 그 무엇을 하다가 무언가를 놓쳐버린 것은 아닐까.

그것도 아니라면, 나는 진실을 제대로 보지 못한 것은 아닐까.

하지만, 행복해지길.
더불어, 나도 그렇게 되길.
이 과정마저도 진심이 되길.
posted by johnjung
2009. 9. 9. 23:22 Review/음악에 관한


김광석의 노래를 듣고 있을 때에는
발바닥을 이용해서 비트를 맞춘다거나,
고개를 까딱까딱거리는 추임새를 넣을 수가 없다.

그의 감성의 촛점 앞에,
그 진실함 앞에,
다른 이야기를 꺼낸다거나 다른 행동을 한다는 게,
그를 외면하는 것 같아, 그렇게 미안해진다.

요즘 음악계에는 멋진 뮤지션들은 넘쳐나지만,
마음 안의 감정을 오롯이 들여내놓는 음악인은 점점 줄어간다.
단순히 시장원리에 입각하여 그네들이 주목을 못 받는 정도라면 좋으련만,

이제는 자신의 이야기를 덧칠하고 치장하여 드러내는 사람과
자신의 감정에 대해 명료하게 정의내리고 채색해가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자신의 목마름과 이유를 알 수 없는 태생적인 외로움에 대해 담백하게 이야기해가는
사람들은 줄어갈 뿐 아니라, 오히려 시대에 뒤쳐진, 트렌드가 아닌, 그런 낙인만 찍혀가는 듯 하다.

그래서, 김광석이 그립다.
이젠 진심을 이야기하는게 문득 창피해진 이 시점에서,
내가 하고픈 말들을 대신 노래로 불러주는 그가 그렇게도 그립다. 그리고 고맙다.
posted by johnjung
2009. 8. 18. 16:25 Review/음악에 관한

중창단 활동을 다시 시작했습니다.
사실 시험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주변 사람들과 함께 하기가 좀 꺼림찍했던 것도 사실인데,
메시아 합창 전곡으로 정기연주회 레퍼토리로 한다고 해서, 고민없이 바로 휴단을 중단하고,
활동을 다시 시작했습니다.

제가 살면서 언제 메시아 전곡 (합창부분만)을 연주할 기회를 가져볼까하는 생각에 시작하기도 했지만,
작년 정기연주회 리허설 잠깐 맛봤던 "for unto us a chile is born"이 들려준 멜리스마와  
버무려지는 합창이 너무 맘에 들어서, 꼭 한번 부르고 싶다는 느낌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아마 작년, 리허설을 지켜보고 나오는데도, 왠지 입맛을 한번 다시게된 이유가 그런게 좀 남았기때문이겠지요.

쉰지가 오래되서인지, 연습 중에 악보를 읽고 또 부르는데 있어,
호흡이라던가 발성같은 면에 제약이 많아, 굉장히 버겁긴 합니다만, 작년 연주에 대한 기억이 남아있어
적어도 중창단에 흠이 되지않도록 연습을 틈틈이 하고 있긴합니다.

특히, 저희는 Christopher Hogwood가 지휘했던 연주를 컨셉으로 하여 연습을 하고 있는데요.
지휘자님께서 "Christopher Hogwood와 다른 지휘자와의 차이점이 뭘까?"하고 물으셨습니다.
그에 대해 들어보고 나름 고심하다가 얻게된 결론이 있어,
요즘 저의 주된 관심사 중의 하나이며, 많은 사람들이 알면서도 잘 알지 못하는
헨델의 오라토리오, 메시아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합니다.

*다음은 크리스토퍼 호그우드가 2005년 지휘한 헨델의 메시아 연주영상 일부분입니다. 
클릭하시면 영상이 있는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Christopher hogwood


먼저, 지휘자 크리스토퍼 호그우드는 그동안 원전과는 거리가 있었던,
-대형 합주단이 주로 연주하여 웅장함을 드러내던 - 메시아를 재해석하여,
헨델이 지휘하던 시절의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의 인원수마저도 정확히 맞추고,
종전 메시아에서 맡고 있던 소프라노와 앨토의 성부를 보이소프라노와 카운터 테너로 대체하며,
당시의 악기를 오케스트라에 넣거나 악기가 오래되어 찾을 수 없을 경우에는
그 악기를 현대에 복제하여 원전 그대로 연주하였습니다.
(실제 그가 이끌고 있는, The academy of ancient 합주단은 고전음악을 원전대로 연주하며,
악기 역시 고악기를 재현하며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실제,  메시아는 우리가 보통 듣게되는 할렐루야의 웅장함으로 인하여,
200명 이상의 대형합창으로 연상되기 쉽지만,
실제 초연 시에는 위와 같이 약 20명 내외의 합창단원이 연주를 하는 형태였습니다.
이는 메시아의 작곡자이자 초연의 지휘자였던 헨델이 예수의 생애를 알리는데 있어
웅장한 행보를 드러내기 보다는, 
아름다운 공명을 유도케하기 위하는 것에 더 주안점을 두고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좌측이 일반적인 메시아 합창단, 우측이 Hogwood의 연주시 합창단입니다.


그렇다면 왜 헨델같은 국제적 명성의 작곡자가 대형스케일의 웅장한 곡이 아닌
저런 소규모의 합주단에 근거하여 연주를 했을까요?
아마도 이에 대한 답은 당시 헨델이 메시아를 쓰게 된 배경에서 찾을 수 있지않을까 싶습니다.

헨델과 메시아 필사본



헨델의 메시아는 후대의 많은 사람들에 의해 "웅장함"으로 인해 해석이 되었지만,
실제 헨델은 메시아를 작곡할 시기에는 굉장히 심신이 지쳐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많은 압박을 당할 시기였습니다.

사실 헨델은 영국황실의 보호 아래 오페라의 작곡에 전념할 생각으로 귀화까지 했지만,
그 당시 오페라 창작과 오페라단 운영으로  인해 얻게 된 과로 탓에, 고혈압, 뇌졸증, 지휘자로서
치명적인 오른팔 마비까지 얻게 됩니다.
건강상 문제로 장기간 요양을 할 수 밖에 없었던, 그는 휴양을 통해 건강을 되찾고
영국으로 다시 돌아와 작품생활을 연계하려고 하지만,
당시 런던은 이탈리아풍의 오페라의 인기가 더 이상 유행되지 않아,
종전 이탈리아풍의 오페라를 주로 제작했던 헨델에게 그같은 현실은 큰 경제적압박으로 작용합니다.

결국, 경제적 고충이 심했던 오페라단의 운영을 포기하게 되고,
그 와중에 헨델이 새롭게 도전하여 성과를 거둔 것이 바로 "오라토리오", 종교적인 내용을 다루는 장르였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인데, 헨델은 당시 굴곡이 많던 자신의 삶을 종교적 성찰을 통해 위로를 받게 되고,
그 와중에 창작욕이 발휘된 것으로 보입니다.
(여담이지만, 37곡의 대곡인 메시아는 약 한달여만에 쓰여졌습니다.
 그것도 다른 작업과도 연계되면서 말이죠.)

그런 헨델에게 신의 웅장함을 나타내는 수단으로 역시 대형 합주단을 꾸린다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 - 본인의 작업을 표현하는 신의 업적과 동일시하는 - "오만감의 표출"이라는
종교적 감성이 발휘되어 이에 대한 부끄러움을 느꼈던 것은 아니었나 싶기도 합니다.
덧붙여 기나긴 경제적인 압박을 통해, 대형 오케스트라를 이끌고 연주한다는 것에 대해서,
헨델 개인적으로 무리가 뒤따랐을지도 모를 일이지요

어찌되었든, 20-30인의 소규모합창단을 통해, 웅장함보다는 아름다운 공명을 연출한 연주는,
영국 황실뿐만 아니라 많은 영국인들의 종교적 성찰을 이끌어내어,
현재까지 만인들에게 알려진 합창곡인 "할렐루야"로서 전세계인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결국 지휘자님이 말씀하신 호그우드의 지휘와 다른 지휘자와의 지휘에서 비교되는 점은,

호그우드는 초연 당시 합주단 구성인원을 그대로 재현하여,
종전에 메시아를 해석하던 방법, 그러니까,
신의 존재에 대한 웅장함을 표현하기 위해 많은 오케스트라, 200명 정도의 대형합창단으로서
"웅장한 도구"로서 신의 "웅장함"을 드러낸 것이 아니라,

초연 당시,헨델이 숱한 개인적고난에서 찾아낸 종교적 성찰을 통해,
신의 생애를 감히 이야기하는 "종교적 겸손함"을 드러내는 소규모의 합주단으로서,
자신을 낮추고 신을 높이는 그런 형태의 감성을 재연하려던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Christopher Hogwood 헨델: 메시아 (Handel: Messiah) [2CD]
33270 /
상세보기관련상품보기

저 역시 이렇게 비교하여 들어보고 나니,
웅장함을 나타내는 메시아도 좋지만,
호그우드와 같이 소규모로 운영되는 메시아가 더 각별하게 다가오는군요.

아마 저희 지휘자님은 이를 통해,
중창단이란 소규모의 합창단에게 있어 잘 소화할 수 있는 레퍼토리가 헨델의 메시아라고,
생각하시고, 작년부터 이를 레퍼토리에 포함시키신 것으로 보이구요.

이번 연주, 합류도 굉장히 늦었고, 종전에 같이 연주하던 사람들이 아닌지라,
서로 간의 호흡 역시 맞추기 어려운 것도 사실입니다만,
굉장히 기대가 갑니다. 개인적인 사항으로 이런 일에 관심을 기울이기에 어려운 실정이지만,
이런 내력까지 알아버리니, 되는대로 준비하기에는 무척 아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항상 이 블로그에 정기연주 초대관련 게시물을 쓰긴 했습니다만,
언제나 저희들만의 축제로만 비추어지던 정기연주,
하지만, 레퍼토리가 대중적이라는 면에서도 그렇고,
개인적으로 소화에 대한 욕심도 있어서, 
이번만큼은 욕심을 내어 여러분을 더욱 초대하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연주 시기가 되어 자신있게 초대할 수 있도록, 준비를 잘 해야겠습니다. :)


추신. 개인적인 이야기입니다만,
건강에 무리가 뒤따르시는 저희 지휘자님께서,
이 레퍼토리를 선정하신 데에는 개인적인 감성이 어느 정도 작용했을 꺼라고도 보입니다.
마치 헨델처럼, 이번 연주를 통해 개인적으로 부여되는 많은 괴로움에서 벗어나시게되기를,
감히 기대해봅니다.

덧붙여, 알고 있는 내용을 정리하여 풀어쓴 것인지라,
"추측"에 불과한 내용이 이의 정보 소스로서 작용했을 수도 있습니다.
혹시 제가 이 내용에 있어 수정해야할 사안이 있다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posted by johnjung
2009. 7. 20. 22:29 Review/음악에 관한


솔직히, 고백하건데,
금요일 밤, 유희열의 스케치북에서 이 공연을 보면서,
후렴구 "난 지금~"서부터 저 춤 따라하고 있었습니다....:)

어릴 적에 TV에서 유일하게 따라할 수 있던 안무였던
그 안무를 바꾸지않고 그냥 써줘서 그렇게 고맙더군요.
덕분에 새벽에 아무도 없는 집에서 굉장히 신나해하고 있었습니다.

혹시 스트레스 받으시는 분이 있으시다면,
한번 따라해보시죠. 이거 동작도 쉽고 빠르지도 않아서, 굉장히 재미있어요.
근데, 나이가 서른 정도 되시면,
방문을 잠그든가 저처럼 집에 아무도 없을 때 하시는 게,
후에 "아, 정말 철없어."하는 자책감에서 벗어나는데 좀 도움이 될꺼에요. :)

ps
시험이 끝났으니까 뭔가 시험에 대한 코멘트를 해야할 것 같기도 한데,
지금은 제 심정을 저도 잘 모르겠어요.
시험에 대한 심정을 정리하기가 좀 겁나기도 하고,
그러니까, 뭐 그런 건, 나중에나 할께요.
(아마 이러고 거의 안 하니깐 안 할 확률이 훨씬 높죠,ㅋㅎ)

됐구, 일단 좀 놀자구요.
정말 시험끝남과 동시에 장마전선이 오셔서,
뭐 우울전선도 함께 오셨는데, 이러다 큰일 나겠어요.
철이고 위치고 뭐고, 이번 주는 신나게 놀아제껴야겠어요.
난 뭐 교양도 없으니까, (누구처럼 한국의 명지를 다니며
사진촬영하는 고상함은 저랑 거리가 좀 있거든요.)
너무 잘 나가는 애들은 그렇고,
대강 나가는 애들이랑 신나게 놀러다녔으면 좋겠어요.

순간을 미친듯이 즐기고 싶군요.
내일이 불합격의 지옥이라 한들, 요며칠은 정말 미친듯이 놀고 싶어요.
아, 그러니까 비 좀 작작 왔으면 좋겠네요. 제발...!
posted by johnjung
2009. 5. 13. 17:41 Review/음악에 관한





비록 목소리는 거칠지만, 듣는 이의 마음을 촉촉하게 만드는 건 또 뭐람?
반한다. 반해.






posted by johnjung
2009. 5. 4. 21:36 Review/음악에 관한


어제 집에 돌아가던 중에 라디오에서 giordani의 caro mio ben이 오랜만에 나왔더랬다.
처음 이 노래를 알게된건 20대 초반에 영화 "아마데우스"의 o.s.t에서 들었던 곡이었는데,
주인공 모짜르트가 작곡한 곡인 줄 알고 열심히 찾았는데 찾을 수가 없어서 
다시 조사해보고 나니 Giordani의 곡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
그 곡이 어찌나 좋았던지, 악보를 구해서 저장하고 딕션을 그대로 따라적고 했던 기억이 난다.
예전에 함동연주회 참가탓에 수업을 한번 빼먹었는데 교수님이" 네 외모로 중창단한다는 걸 믿으라고?
다음 수업시간에 연주로 증명해내라."라고 하셔서 그 때쯤에 이 곡으로 준비했던 것 같다.
(결국은 안 불렀다. 교수님이 까먹었드라....근데, 웃긴 게 나 그 때, 앵콜곡으로 nella fantasia까지 
준비하고 있었다. ㅋㅎㅎ 실력도 안 되는 주제에,..지금 생각하면 정말 뭔 깡으로 그랬던지 모르겠다.)

이 곡의 노래 제목은 "caro mio ben, 오 내 사랑"으로, 사랑을 고백하는 노래같지만,
가사로 보았을 때는 사랑의 멈춤에 고통스러워하는 연인의 마음을 노래한 것에 더 가깝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마데우스에서는 그의 결혼식 장면에서 불려졌다.

그런데, 그 때는 가사 내용도 모르고 당시의 그 누군가에게는,
그저 사랑을 고백하는 노래인 줄 알고, 이 노래를 불러주기 위해 연습했던 때가 있었더랬다.

당시 학교 교회 뒤에는 계단 형식의 무대가 있었는데, 꼭 무대홀처럼 생겼었다.
산 중턱에 있어 울림도 너무 좋았고,
밤 10시 경에는 몰래 나가서 그 추위에 떨면서 노래 연습을 하기도 했었는데,...옛날 기억 물씬난다.
당시 노래방의 고백 레퍼토리 트렌드는 "임재범의 고해"였는데, 저주받은 음역 탓에,
사실 딱히 고해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가요들은 내 발성으로 도저히 따라갈 수가 없어서,
남들 노래방에서 불러주고 점수 따던 시절에 이런거나 연습하고 있었다.
(미련했다. 결국 음정 버튼만 조정하면 되는 거였는데!!!!)
하지만, 결국 이벤트를 성사시켰고,
덕분에 아주,..아주,..차후에 들었지만, 그 때의 내 이미지는 너무 젠체를 심하게 하던 거 같다라는 평과
함께 그렇게 기억에 남겨지게 되었다.
이제 와 하는 말이지만, 나도 부를 수만 있다면 노래방에서 임재범 "고해" 불러주고 끝냈을텐데...:)

여튼, 내게는 그런 추억이 남아있던 노래다.
실제 부를 때에는 생각보다 높게 느껴져서,
(내가 듣기론 학부에서 테너파트 실기곡으로 많이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높은 부분에서는 유려하게 못 뽑고,
진성으로 밀고 들어가서, 우악스럽게 불러서 사람도 없는 곳에서 혼자 민망해하던게 기억이 난다.

아, 꼭 혼자서만 민망해했던 건만은 아니었다.
거기서 좀 위로 올라가면 어학당이 있었는데, 그 뒤쪽 아랫 부분에 아파트가 있었다.
그러면 거기서 아파트 불빛이 아래에서 위로 치고 올라오는데,
당시는 가로등도 학교 내에 몇개 없던 시절인지라,
그게 그렇게 로맨틱했었다. CC 시절에 학교 내에서 내가 알아냈던 로맨틱 Best 3안에 들 정도?

거길 애용하는 몇몇 연인들이 있었는데, ㅋㅎ
내 숱한 삑사리를 듣고, 낮은 부분에는 "멋있다~"이러다가,
(그래, 솔직히 인정한다, 간간이 "왜 저래?"도 분명 있었다.ㅋㅎ)
높은 부분에서는 "풋"이 들렸던 게 기억에 남는다.
위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거긴 하울링이 끝내주었던지라 그것마저도 아주 선명하게
들려서 벌개졌던 기억이 난다. (물론,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내 성향상 소심하게 도발은 했다.
당시 기숙사 점호가 11시였는데,  10시 40분쯤 되었을 때는 비웃은 그 쪽을 향해,
"야! 다 했냐? 가자. 11시다!"라고 외쳐주셨지.ㅋㅎ)

옛날 기억 참 생생하다.
참 노래 잘 하고 싶었었는데,...
학교생활 외에는 연주회 준비가 주요 과제였던지라,
레퍼토리 잔뜩 부여들고, 방금 말한 무대홀이라던가 음대 203호에 들어가서
MP3로 녹음하고, 학기 초에는 군기잔뜩 든 음대 신입생들한테 꾸벅 인사도 받고 그랬던 게
문득 기억이 난다. 203호하니 예전 첫사랑 생각도 많이 나고,....
아마 그 때부터였을꺼라, 무언가 이벤트를 하는데 있어서 피아노를 항시 이용했던 것은,

오랜만에 웃기고도 창피했던 옛날 이야길하니까 뭔가 답답한 마음이 좀 사라져간다.
자, 그럼 다시 책을! :)

ps 당시 이 곡을 연습할 때의 롤모델은 바리톤 호보로토브스키였지만,
    듣는 입장에서는 소프라노 세실리아 바톨리가 왠지 더 맘에 든다.
    그래서, 위에 링크한다.
        
posted by johnjung
2009. 5. 2. 16:18 Review/음악에 관한


우리에겐 언제나 잊고 지내던 찰나가 있다.
"철이 없어서,"라던가. "그 때는 많이 어렸지"라던 당연함으로 받아들여지는 변명에 묻혀있던
 그 사랑의 찰나들.
혹은 그런 식으로라도 잊혀지길 간절히 바라며 깊숙히 하루하루 묻어놓았던 그런 찰나들.

그렇게 깊숙이 가려놓았던 기억을 대면하니,
창피하게 노래를 듣다가 목이 메인다.





posted by johnjung
2009. 4. 17. 18:12 Review/음악에 관한



음, 즐겁다. 역시 봄같은 계절에는 Silje,

특히나 전에는 이 라이브 음반만 들을 수 있었는데, 그 신명나는 애드립을 영상으로 들을 수 있어 더욱 좋구나.
들을 때는 몰랐는데, 건반 2대를 저렇게 배치해놓고 연주했었나? 그야말로 화려한 액션을 보여주시는군
음반에서도 그랬지만, Tord gustavsen trio는 이미 Silje의 백밴드라는 후광을 넘어,
이미 Silje 자체를 잡아먹은 듯하다. 이건 뭐 시너지고, 뭐고, 카리스마에서 그냥 눌리누만,
posted by johnjung
2009. 2. 23. 22:09 Review/음악에 관한

이 곡을 처음 안 건,
미세스 다웃파이어 초반 장면에서 로빈 윌리암스가 만화주인공의 목소리로 후렴구를 불러대던 장면에서였다.
어린 마음에도 그 노래는 짧은 순간에 불과했지만 그 노래의 기억은 강렬했다.

그러다, 어느 라디오에서도 문득 듣고,
셰빌리아의 이발사에서 나오는 아리아라는 것도 어렴풋하게 기억하던 찰나에,
같은 중창단의 형이 언젠가의 연주회 때,
(그 때는 재미있었던 게, 단원 각자가 레퍼토리를 이용해서, 송년연주회를 한 적이 있었다.)
이 노래를 부르는 순간 , "아, 이 노래!"하고 기억해냈고,
바리톤에게 있어 아주 매력적인 오페라의 아리아라는 걸 알게됐다.

원곡의 이름은, "Largo al factotum". Rossini의 셰빌리아의 이발사에서 나오는 아리아이다.
솔직히 실력만 된다면 불러보고 싶을 정도로 아주 매력적인 노래다.
그러나 이의 실력에는 발성뿐만이 아니라, 발음에 있어서도 상당히 어렵기에.
관심이 가지만, 도무지 따라하기조차도 버거울 정도다.

위의 형이 송년연주회 때, 실력을 뽐냈는데,
상당히....뭐랄까,....안쓰러웠다. :)
그도 그럴 것이, 후반부의 저 딕션(발음)을 보라,
정확도를 벗어나, 엄청난 체력이 요구될 것 같지않은가?
내가 볼 때 호흡도 좋고 소화력도 좋아 그래도 잘할 줄 알았는데,
역시....힘들어하드라.

그래도, 곡이 워낙 흥겨운지라, 한번쯤은 꼭 부르고 싶어지는 이 노래다.

많은 성악가들이 이 노래를 불렀는데,
이의 소개와 관련하여 공연동영상을 하나 굳이 고른다면,
아무래도 세기의 바리톤, Thomas Hampson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가 없다.




80-90년대, 뭐 지금까지도 그는 Largo al factotum의 상징이니까.
youtube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최근 그와 관련하여, 예전만 못하다란 이야기를 많이 하고 있지만,
(특히, 위의 metropolitan 공연은 그에게 상당히 악명으로 따라다니는 영상으로도 유명하다.
많은 사람들은 그가 이 때부터 조금씩 망가져가기 시작했다고 하드라.)
아무리 생각해도, 이 노래는 단순 발성과 분위기와 더불어,
이를 끌고가는 연기력이 받춰주어야 이 노래를 잘 전달할 수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나도 토마스 햄슨에게 한표를 건네고 met의 연기 탓에 위 영상을 올린다.



한국에서는 바리톤 김동규의 공연을 많이 기억하고 있는데,
youtube에는 제대로 된 음질의 영상이 없어 올리기가 뭐하다.
(그리고, 아쉽게도 김동규는 너무...가볍다고 해야하나,...촐싹맞다 해야하나,
발성도 좋은데, 오히려 쇼맨쉽 탓에 폄훼가 따라오는 듯한 느낌이다.)
그러다, 작년 여름 즈음에 양태중의 공연을 봤는데,
내가 봤을 때는 이런 아리아에 딱 어울리는 목소리는 아니란 생각이었지만,
목소리가 청명해서 너무 맘에 들어, 기분전환용으로 자주 감상하고 있다.
(사실은 이 노래를 기점으로 팬이 됐다. :))
함께 첨부하니, 즐겁게 감상하시길.

posted by johnjung